캄보디아 인사이트

캄보디아 음식·식료품 배달 산업 현황과 전망

작성자 정보

  • Snowcam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https://thecaminsight.com/insight/104 


캄보디아의 음식 배달 및 식료품 배달 산업이 디지털화와 도시화청년층의 소비문화 변화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PROFITENCE가 발표한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음식 배달 시장은2024 3,100만 달러에서 2029년에는 4,8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식료품 배달 시장은 같은 기간 동안 33,15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음식 배달 시장청년층과 도심 중심의 확산

2024년 현재 캄보디아 음식 배달 산업은 프놈펜에 집중되어 있으며푸드판다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그 뒤를 이어 Nham24, E-GetS, WowNow가 경쟁 중이다특히 Grab Nham24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late 2024부터 경쟁 구도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하루 평균 약 53천 건의 주문이 발생하고 있으며연간 약 3,100만 달러의 매출이 발생 중이다주요 고객층은 14세에서 19세의 청소년과 디지털 친화적인 젊은 성인으로편리함과 기술 친화성이 높은 배달 서비스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다.

소비자 선호 요인으로는

-빠르고 정시 도착하는 배송(34.23%)

-다양한 음식 선택지(15.59%)

-프로모션과 할인(15.41%)
이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또한, ABA Pay와 같은 결제 게이트웨이의 통합은 카드 결제의 보안성을 강화하며 디지털 결제의 확산을 이끌고 있다.

 

식료품 배달 시장장보기도 디지털로

반면 식료품 배달은 아직까지 대다수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을 선호하고 있으나젊은 층을 중심으로 점차 온라인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특히 건조 및 가공식품개인 위생용품세제류과일 등에 대한 주문이 많은 편이다.

시장 규모는 2024 14,090만 달러에서 2029년에는 33,1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연평균 성장률은 15.43%에 달한다온라인 식료품 소비가 증가하는 주된 이유는 교통 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식료품을 받을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확산의 주요 장벽으로는

-신선 식품의 직접 확인 불가

-전통 시장에 대한 높은 선호도

-배달비 지불에 대한 거부감
이 존재한다.

 

소비자 행태와 앱 사용률

설문조사에 따르면음식 배달 앱 사용자 중 약45.57%는 앱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25.18%는 주 1회 이하 사용에 그쳤다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은 푸드판다(42.88%)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고그 뒤를 WowNow(23.56%), Nham24(16.78%) 등이 따랐다.

식료품 구매 측면에서는 81.92%가 온라인 주문을 아예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구매 시 고려하는 요소는

-편의성(22.4%)

-가격(19.95%)

-품질(17.96%)
 순이었다온라인 플랫폼 중에서는 소셜미디어(33.72%)와 직접 판매자 접촉(24.08%)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망도시화와 디지털 전환이 열쇠

2025년까지 캄보디아 도시화율은 2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41%에 달할 전망이다이는 음식 및 식료품 배달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디지털 결제앱 기반 주문프로모션 전략 등은 산업 성장의 핵심 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전통시장 중심의 구매 습관과의 균형이 향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참조: 'E-Commerce in Cambodia 2024', 캄보디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